장강명 <우리의 소원은 전쟁> 장강명 지음 <우리의 소원은 전쟁> (주)위즈덤하우스 초판 2쇄 2016. 11. 25 국정원 댓글 조작 사건을 다룬 <댓글부대>, 한국 이민자의 이야기 <한국이 싫어서>, 오타쿠의 실화를 토대로 한국 젊은이들의 생존 문제를 다룬 <열광금지 에바로드>, 타인의 정신을 지배하고 조종하.. 독서 애환(讀書哀歡) 2017.04.03
카이사르의 여자들 로마의 일인자 시리즈 4편 <카이사르의 여자들> 1~3권. 교유서가 2016. 12. 7 1판 1쇄. 콜린 매컬로 지음 강선재, 신봉아, 이은주, 홍정인 공동 번역 2017년 1월 1일 첫 권의 111쪽까지 읽은 후 나머지 부분과 2권, 3권은 3월에 모두 읽었다. 송중문화정보도서관과 강북문화도서관에서 빌려 읽었.. 독서 애환(讀書哀歡) 2017.03.31
정독도서관(2017/03/22) 정독도서관. 참으로 오랜만이었다.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공부한다고 자주 들렀고, 그 이후에는 책을 빌린다고 가끔 들렀다. 동네 도서관이 여러 군데 생기면서 안국역 근처의 정독 도서관까지 갈 일은 없게 되었다. 고물상에 들렀다가 수유사거리,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성신여.. 독서 애환(讀書哀歡) 2017.03.22
Heart of Darkness-A Norton Critical Edition 노튼판(A Norton Critical Edition) 원본 텍스트에 비평(criticism)이 함께 실려 있는 판이라 영문학도들에게 인기있다. <Heart of Darkness> 노튼판을 1980년대 후반에 구입하고 이번에 다시 구입해 보니 세 배쯤 두꺼워져 있었다. 텍스트가 소박해 보일 정도로 비평이 많았다. 신판에는 30년 전에 실렸.. 독서 애환(讀書哀歡) 2017.03.18
빌린 책을 포장하다 도서관에서 빌린 책을 깨끗하게 보는 방법. 달력으로 포장하는 것이다. 빌린 책과 소장한 책을 구분하는 방법도 된다. 무슨 책인지 알아보려면 겉표지에 간단하게 제목을 써 놓으면 된다. 달력 표지는 기록을 할 때도 요긴하다. 읽다가 뒤쪽에 필기하는 것도 효율적이다. 책 읽기의 맥을 .. 독서 애환(讀書哀歡) 2017.03.13
독후감이 잡지에 실린 적이 있었네 이런 적이 있었다. 부산에서 발간한 잡지 <준비운동없이 뛰어들고 싶다>에 독후감을 보낸 적이 있었다.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2권이 출간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 독후감을 써서 보냈는데 내 글을 실어 주었다. 이 때만 해도 쉼없이 서평도 쓰고 소설도 쓰고 할 것같았는데...... .. 독서 애환(讀書哀歡) 2017.03.13
그 겨울 그리고 가을-나의 1951년 <그 겨울 그리고 가을-나의 1951년> 유종호 (주) 현대문학, 2009 한국전쟁. 1951년 1.4후퇴 피난길. 마을 어귀마다 경고문이 붙어 있었다. 우리 동네엔 전염병이 돌고 있습니다. 이 마을엔 돌림병이 들었습니다. 피란민 사절. 설마 전염병이 창궐하고 있을까? 엄동설한에 돌림병이 가당키나 .. 독서 애환(讀書哀歡) 2017.03.10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1Q84> 3권을 읽지 못한 상태에서 <노르웨이의 숲>을 읽고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도 읽었다. 지난 해(2013년) 출판되면서 하루키 열풍을 다시 몰고 온 소설. 제목도 긴 소설을 지방에 다녀오면서 모두 읽었다. (2014년 3월-3년 .. 독서 애환(讀書哀歡) 2017.03.07
영어 원서, 무조건 1천원 아름다운 가게에 가면 중고 도서를 판매한다. 이곳에서는 국내 서적이든 외국 서적이든, 큰 책이든 작은 책이든, 아주 깔끔한 책이든 때가 꼬질꼬질 묻은 책이든, 전혀 상관하지 않고 무조건 1천원이다. 몇 권 득템했다. 꼭 구입해야 하는 건 아니었지만 싸니까 구입하게 되었다. 사실, 원.. 독서 애환(讀書哀歡) 2017.03.05
헤르만 헤세 <수레바퀴 아래서> ※스포일러 있습니다. 헤르만 헤세 <수레바퀴 아래서> 한미희 옮김.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02 2013. 6. 7 1판 2쇄 예나 지금이나 학자들이 새 술부대에 신경을 쓰느라 오래된 포도주를 버리고 만다면, 예술가들은 종종 외적인 잘못을 태평스레 고집하지만 많은 이에게 위로와 기쁨을 준.. 독서 애환(讀書哀歡) 2017.03.05